행정안전부 재해통계를 보면 최근 10년간 경북이 전국 광역지방자치단체 가운데 가장 피해가 컸다. 지난 2013∼2022년까지 자연재해로 경북에서 발생한 사망과 실종자가 51명이다. 10년간 전국의 전체 사망·실종자 302명의 17%가 경북에서 발생했다. 인구가 다섯 배나 많은 경기도(1358만9432명)에서 발생한 사망·실종자 48명보다도 더 많다. 인명 피해뿐 아니라 재산 피해도 컸다. 2022년 환산 기준 7138억6000만 원이나 된다.

행안부가 내놓은 자료 가운데 가장 가까운 해인 2022년에도 경북은 인명 피해 15명, 물적 피해 267억7000만 원으로 모두 전국 1위다.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경북이 이처럼 피해가 큰 것이 태풍과 지진이 자주 발생했기 때문이라지만 이를 당연시해서는 안 된다.

경북이 한반도에 사상 최다 태풍이 몰아친 2019∼2020년 주요 태풍의 경로에 있던 영향이 컸고, 2016년과 2017년 경주와 포항에서 발생한 지진 또한 피해가 적지 않았던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자연재해에 대한 대비를 얼마나 철저히 했는지를 되돌아봐야 한다.

2022년 대형 태풍 힌남노로 인해 경북 포항의 냉천이 범람해 8명이 목숨을 잃고 포항제철소가 침수되는 등 큰 피해를 입었다. 하지만 2년이 지나도록 주변을 둘러보면 제대로 복구가 되지 않았거나, 아직 복구 중인 곳이 한두 곳이 아니다. 큰 피해를 냈던 냉천의 복구도 하세월이다. 힌남노 내습 당시 범람에 의해 둑이 무너질 위기에 놓여 주민들이 대피 소동을 빚었던 경주시 강동면 왕신저수지도 아직 제대로 복구되지 않은 채 비닐로 덮여 있는 상태다.

이상기후로 인해 해가 갈수록 자연재해의 빈도가 잦아지고, 강도가 강해지고 있다. 과거 통계나 대응 방식으로는 효과적인 재해 예방을 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 이제 과하다 싶을 정도로 대비해야 한다. 무엇보다 힌남노 때 피해를 입은 하천과 범람 위험에 처했던 저수지 등에 대한 시급한 복구가 이뤄져야 한다.

경북도와 각 시·군은 여름 우수기가 오기 전에 미리 자연재해 예방을 위한 총체적 점검을 해야 한다. 하천과 저수지 등은 물론 급경사지, 산사태 우려 지역 등 붕괴 위험 지역 등에 대해서도 미리 점검하고 안전 대책을 세워야 한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